2막

전기기능사 최종 합격 후기

secondoflife 2024. 12. 6. 21:42

2024년 12월 4일은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합격자 발표일입니다. 지난 11월 18일 실기시험을 보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카톡으로 합격문자가 왔습니다. 실기시험 완료 후 결과물이 정상적으로 작동 되었으니까, 결과는 이미 예상하고 있었으나 그래도 합격문자를 받고 나니까 비로소 합격했다는 실감이 났습니다. 큐넷에 들어가서 점수를 확인했는데 생각보다 잘 나왔습니다.

 

저는 전기 비전공자로서,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을 2024년 1회에 합격하고, 실기는 2024년 4회에 합격하였습니다. 필기시험 공부는 전기 기초를 모르니까 인강을  한번 듣고 그 다음부터는 문제풀이 중심으로 했습니다. 대부분이 외워야 하는 것들이지만 그중에서 잘 안외워지는 내용들은 A4지에 끄적끄적해서 가끔 한번씩 보다보면 그래도 외워집니다.

실기시험은 작업형이기 때문에 학원을 다녔습니다. 독학도 가능하지만 작업장 환경을 만들고, 실습을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주거환경에서는 쉽지가 않습니다.

제가 그동안 전기기능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느낀점입니다.

 

1. 시험 난이도는?

제가 치른 시험 기준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2024년 1회 전기기능사 필기 시험 합격률은 약 38.37%입니다. 다른 기능사 종목에 비하여 조금은 낮은편입니다. 그렇다고 합격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무척 어려운 시험이다 라고 단정지을 필요는 없습니다. 조금만 시간을 가지고 준비하면 모두 합격 가능합니다.

2024년 4회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 합격률은 약 69.06%입니다. 실기 합격률은 다른 종목보다 높은 편입니다. 제가 실기 시험 준비 과정을 돌아보면, 전기기능사 시험은 작업형이라서 준비과정이 어려운거지 실제 시험 자체는 어려운편이 아닙니다. 모든 시험이 실수가 점수의 하락 요인이지만, 실기 시험은 실수가 한개만 있어도 바로 탈락이 되는 수준입니다. 전기기능사 실기는 몰라서 불합격이 아니라 실수 한가지가 불합격 요인입니다.

 

2. 시험 준비방법
- 필기시험 :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의 절반 이상은 전기 기초 이론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전류, 전압, 저항, 전력 계산 등 기본 개념에 대하여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 보면 충분합니다. 기출문제집을 구입하여 많이 반복적으로 풀어보면 충분히 합격 가능한 수준입니다. 

☞ 비전공자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후기

 

 

- 실기시험 : 실기시험은 작업형 문제이기 때문에 학원에 다니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작업을 시간내에 끝내야 하고, 전원을 연결하여 스위치 등을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야 하는 시험입니다. 독학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실기 작업 환경을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학원 다니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실기 작업 결과

 

 전기기능사 실기 합격 준비과정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준비 : 학원 vs 독학, 어떻게 준비할까?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준비물 가이드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후기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은 전기 관련 기본 지식을 평가하고, 실기시험은 실제 작업을 해서 결과를 확인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본인에 맞는 방법을 찾아 준비하면 어렵지 않게 합격할 수 있습니다. 전기기능사 시험을 준비 중인 모든 분들이 내년에는 모두 합격하기를 바라겠습니다.